현지화(localize)전략 없이는 실패한다.

 

한국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모델들이 일본 열도에서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NHN과 다음커뮤니케이션 등 내로라하는 국내 인터넷 업체들도 현지 SNS의 벽에 막혀 마이너리그를 해매고 있다. 급기야 서비스를 접는 사례까지 나왔다. 일본은 우리와 인터넷 문화 성향이 비교적 비슷한 국가여서 그동안 SNS의 글로벌 진출에 있어 1차 관문으로 꼽혀왔다. 일본서의 부진이 더욱 우려되는 이유다.

■日NHN, 커뮤니티 서비스 ‘그만’
■싸이월드 ‘분투’, 다음 ‘철수’

ZDNet Korea, 2009년 05월 14일, 「한국 SNS, 일본서 잇단 굴욕」기사 중 일부

과거 한국 시장에서 철수했던 ‘휴대폰 황제’ 노키아(Nokia)가 다시 돌아왔다고 합니다. 인도에서도 중국에서도 판매량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노키아는 유독 한국 시장 내 삼성과 모토로라에 밀려 철수한 경험이 있습니다. 또한 몇 달 전엔 미국 1위의 소셜 네트워킹(Social Networking) 서비스인 마이스페이스닷컴(Myspace.com)이 한국 사업 개시 10개월 만에 문을 닫기도 했죠.

사실 노키아(Nokia)나 마이스페이스닷컴(Myspace.com)의 한국 진출기를 조금만 살펴보면 특별한 현지화(localize)전략 없이 제품 및 서비스의 한글화만 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닙니다. 그렇다고 다시 들어온 노키아(Nokia)가 새로운 전략이 있는 것 같지도 않아 한국시장에서 구겨졌던 자존심을 다시 회복하기엔 힘들 것 같습니다.

1998년에 한국에 진출했던 세계 최대 유통업체인 월마트(Wal-Mart) 또한 신세계 이마트에 사업을 넘기며 철수했던 사례가 있지만 영국 최대 유통업체인 테스코(TESCO)는 삼성물산과 합작계약을 통해 삼성TESCO를 설립하면서 “홈플러스”라는 브랜드로 한국 내 현지화(localize)에 성공하며 아직도 국내 최대 유통업체인 이마트와 경쟁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현재 세계화(globalize)시대에 마케팅 전략은 표준화(standardize)해야 하는 것일까요? 현지화(localize)해야 하는 것일까요?

사실 우문현답 같지만, 표준화 할 수 있는 부분과 할 수 없는 부분에 따라 현지화 전략을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판단됩니다. 표준화(standardize) 전략은 투입되는 비용도 적고 진입속도도 빠르며 그에 반해 현지화(localize)전략은 비용이 많이 투여되지만 성공 확률은 그 만큼 높기 때문입니다.

다만 IT, 인터넷 비즈니스 관련 제품, 서비스, 솔루션과 함께 커뮤니케이션 전략 또한 현지화(localize)가 더욱 중요하다 생각하고 있습니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나 인터넷(Internet),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 블로그(Blog) 등과 관련된 각종 이론과 법칙들도 Life Style, 문화차이, 정서적 코드, 국민들의 성향, 인프라, 정부지원 등을 고려한 현지 사정에 맞게 수정, 적용되어야 합니다. (그것들이 모두 틀렸다의 뜻이 아닙니다.)

인터넷에선 해외 성공사례의 무조건적인 적용이 우리나라에서의 성공 보증수표가 될 수 없으며, 해외의 실패사례 또한 우리나라에서 성공사례가 되지 못할 이유는 없습니다. 현지화(localize)에 성공한다면 말이죠.

※ 이 글은 총 254회 조회되었습니다.


2 thoughts on “현지화(localize)전략 없이는 실패한다.

  1. 홈플러스는 국내의 경영방식이 오히려 본사로 전이되었다는 내용을 본 것 같아요. 우리의 방식이 세계에서도 통한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거 같아서 기분이 좋았다는.
    그리고 IT분야는 현지화를 하는데 있어서 서비스도 서비스지만 한글화를 조금 더 신경써주었으면 싶습니다. 해외에서 유명하다는 서비스가 우리나라에 진출했다길래 접속했는데 번역기를 돌린듯한 어색한 한글들이 보이면 저도 모르게 창을 닫게 되어버리는.. 좋은글 잘 보았습니다 🙂

    • 홈플러스 내부 직원에게 비슷한 이야기를 들었던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소비자가 좀 평범하진 않지요? 🙂

      해외 서비스의 한글화, 즉 외국어의 translation에 문제가 있다는 것에 크게 공감합니다. 헌데 그 대부분의 이유들이 국내 혹은 현지에서 활동하고 있는 에이전시들의 번역 퀄리티가 낮기 때문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또한 외국계 기업내 한국인이 없어 국내 에이전시의 번역 품질을 검수할 수 없거나 혹시 있다고 해도 한글 전문용어에 취약하여 검수 능력이 없는 경우도 마찬가지 입니다.

      외국계 기업들이 국내 진출을 꾀하면서 능력있는 국내 파트너 선정이 중요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Maxmedic에게 댓글 남기기 댓글 취소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