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서로 다른 단어의 정의에 따른 오해와 논란 – MBC 진짜사나이 사례

먼저 MBC 진짜 사나이 애청자로서 이번 논란에 대해 제작자분들과 군관계자 분들 그리고 출연자분들이 받고 있는 여러 논란과 오해에 대해 참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이번처럼 ‘리얼’이라고 표방하는 방송 콘텐츠의 이슈는 사실 크게 혹은 작게나마 여러번 반복되던 이슈인 것 같습니다. 가장 최근엔 2013년 2월경에 있었던 SBS의 정글의 법칙 논란이 가장 유사했었다고 봅니다. 이런 여러 사례들과 비슷하게 이번 이슈의 핵심 논란 또한 방송제작 시스템이라는 것이 ‘100% 리얼은 없다’라는 것에 암묵적 동의를 하느냐 혹은 명시적 동의를 요구 했느냐의 문제인 것 같습니다. (일부 경쟁프로그램의 음모론은 배제합니다.) 물론 암묵적 동의를 했음에도 실망하거나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들이 분명 있을 수 있으며 명시적 동의를 일부 요구 했음에도 노출이 되지 않아 […]

소셜 미디어에서 공인과 조직 구성원의 개인적 생각이 존재할 수 있는가?

MBC 오상진 아나운서의 트위터 논란 및 경찰 관련 논란에 대해 아고라에 대한 일부 경찰관의 사적인 개입을 보고 몇 가지 인사이트를 정리해 봅니다. MBC 오상진 아나운서가 지난 주말 첫 방송된 ‘주말 8시 뉴스데스크’에 대한 솔직한 속내를 밝혔다가 구설에 휘말렸다. 오상진 아나운서는 7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시의성 떨어지는 TV뉴스가 갈 길은 다양한 화면과 공손한 전달톤이라고 보는데 앵커 이미지나 진행이 마초적이어서 좀 별로라 느꼈다”고 ‘뉴스데스크’에 대한 시청소감을 공개적으로 밝혔다. [노컷 뉴스, 2010-11-08, “오상진 아나 “‘주말뉴스데스크’ 별로 …” 솔직 속내에 구설수” 기사 중 일부] 1. 인터넷, 소셜 미디어상 공(公)과 사(私)의 구별이 가능한가? 많은 공인분들이, 더 나아가선 기업에 종사하는 분들이 소셜 미디어상에게 본인이 속한 조직과 […]

정치는 국민이 원하는, 기업은 소비자가 원하는 커뮤니케이션을 해야…

생전의 김대중 전 대통령은 한 인터뷰에서 “‘3김 퀴즈’에서 매일 문제를 틀리시는데 답을 맞추는 쪽으로 교정하라고 할까요”라는 질문에 “청취자가 좋아하는대로 하라고 하세요”라고 말해 잔잔한 감동을 준 바 있다. < ![endif]--> 노컷뉴스, 2009년 8월 20일, “배칠수, ‘3김 퀴즈’로 또다시 청취자 울렸다”기사 중 일부 저는 일찍 퇴근할 때면 즐겨 듣는 라디오 프로그램이 MBC 최양략 재미있는 라디오이고 그 중에서도 3김의 성대 묘사를 통해 세상을 풍자하는 ‘3김 퀴즈’를 잘 듣습니다. 때마침 배칠수씨가 어제 모 프로그램에서 인터뷰 하는 것을 듣게 되었는데 ‘3김 퀴즈’ 코너는 최초 기획단계부터 3김 중 한 사람이라도 신변에 문제가 발생하면 이 코너는 폐지하기로 했다고 하네요. 그래서 이번 김대중 대통령의 서거로 인해 아마 해당 […]

과장된 시간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ANC▶ 식품업계가 고추장의 세계화를 위해서 매운 맛 표시를 규격화하기로 했습니다. 경제플러스 박영회 기자입니다. ◀VCR▶ 고추장의 세계화를 위해 고추장의 매운 맛이 표준화됩니다. CJ제일제당과 주식회사 대상은, 1년의 공동 연구 끝에, 고추장을 순한 맛, 약간 매운 맛, 보통 매운 맛, 매운 맛, 매우 매운 맛, 이렇게 5단계로 등급화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영문 표기나 매운 맛의 계측 단위에 있어서는 아직 완전히 합의에 이르지는 못했습니다. 2009년 06월 02일, MBC 뉴스투데이, 「고추장 매운 맛 5단계로 표준화 外」 울산에 출장 왔다 호텔에서 아침 뉴스를 보고 실소를 머금었던 뉴스가 기억에 남아 긁적여 봅니다. “1년간 공동 연구 끝에 고추장 맛을 순한 맛 약간 매운 맛, 보통 매운 맛, 매운 맛, […]

MBC 다큐, 최민수 편으로 본 사회적 증거의 법칙

얼마 전 방영되었던 MBC 다큐멘터리 “최민수, 죄민수… 그리고 소문” 은 많은 분들이 보고 여러 느낀 점이 있으셨을 것 같습니다. 저도 한번 꼭 봐야 할 것 같아서 컴퓨터 동영상으로 본 후 PR, 광고 등 마케팅 관련 insight를 정리해봅니다. 최민수와 우연희는 어떻게 소문의 주인공이 됐을까? 소문에서 본 사회적 증거의 법칙 어떻게 이런 소문은 대중들에게 빨리 확산되고 재생산되었을까요? 이것을 마케팅에 적용시키면 소비자와 성공적인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지 않을까요? … 이런 관점에서, 우선 소문의 전파 과정을 통해 어떻게, 왜 그 소문에 많은 사람들이 “설득을 당했는지” 확인하다 보면, 최초 생산자에 의해 초기 유포자가 설득을 당하고 이후 유포자가 제3의 인물을 또 다른 유포자로 설득시키는 과정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