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미디어에서 공인과 조직 구성원의 개인적 생각이 존재할 수 있는가?

MBC 오상진 아나운서의 트위터 논란 및 경찰 관련 논란에 대해 아고라에 대한 일부 경찰관의 사적인 개입을 보고 몇 가지 인사이트를 정리해 봅니다. MBC 오상진 아나운서가 지난 주말 첫 방송된 ‘주말 8시 뉴스데스크’에 대한 솔직한 속내를 밝혔다가 구설에 휘말렸다. 오상진 아나운서는 7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시의성 떨어지는 TV뉴스가 갈 길은 다양한 화면과 공손한 전달톤이라고 보는데 앵커 이미지나 진행이 마초적이어서 좀 별로라 느꼈다”고 ‘뉴스데스크’에 대한 시청소감을 공개적으로 밝혔다. [노컷 뉴스, 2010-11-08, “오상진 아나 “‘주말뉴스데스크’ 별로 …” 솔직 속내에 구설수” 기사 중 일부] 1. 인터넷, 소셜 미디어상 공(公)과 사(私)의 구별이 가능한가? 많은 공인분들이, 더 나아가선 기업에 종사하는 분들이 소셜 미디어상에게 본인이 속한 조직과 […]

[소셜미디어 위기관리] 소셜 미디어(온라인) 위기 관리의 실전

지난 주 모 기업의 위기 관리 실행을 위해 급박하게 움직이면서 느낀 중요한 인사이트를 몇 가지 정리해서 공유합니다.(실제 사례를 첨부하면 이해에 더 도움이 될 터인데 보안상 문제가 있음을 양해 부탁 드립니다.) 오프라인 위기 관리 없는 소셜 미디어 위기 관리 없고, 소셜 미디어 위기 관리 없는 오프라인 위기 관리 없다. 대부분의 기업 위기 관리는 오프라인 위기관리와 소셜 미디어 위기 관리가 따로 없습니다. 즉 온·온프라인 통합적 위기 관리가 있을 뿐입니다. (상식적으로 봐도 따로 있을 수 없습니다.) 많은 분들이 “소셜 미디어 위기 관리가 필요하다”라고 이야기 하지만 이는 “오프라인 위기 관리 시스템 위에 소셜 미디어 위기 관리가 올려져야 한다”라고 이해하셔야 합니다. 공유, 공유… 또 공유… […]

소셜 미디어에 대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의 또 다른 이야기…

오늘은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함께 고민해 봤으면 좋겠습니다. 저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Web 2.0을 이야기 하면서 소셜 미디어를 이야기 하면서 주로 이야기했던 지금도 강조하고 있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에 대해서 말입니다. 왜 유독 지금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부각되고 그 중요성이 논의되고 있는지? 흔히 이야기 하듯 소셜 미디어를 통해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현실화된 것인지? 기업과 CEO는 모두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먼저 과거 인터넷이 탄생하고 홈페이지가 활성화 될 무렵의 각종 논문 및 서적을 살펴보면 한결 같이 등장하는 이야기들이 있습니다. “기업들은 이제 단방향 커뮤니케이션에서 수용자 중심의 순환적(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게 되었다.(해야 한다.)” … 우리는 참여, 개방, 공유, 더 세부적으로 지금 이야기 하는 “양방향 […]

과학적 논쟁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지난 주 금요일에는 특정 연구성과를 공개하기 위한 기자회견을 앞둔 모 연구소 과학자 2분을 대상으로 private한 미디어 트레이닝을 진행했습니다. 기사회견 시 필요한 Do’s and Don’ts 등 원칙적인 부분을 설명 드리고 과학적 논쟁이 예상되는 기자들의 Expected Q를 통해 실제 핵심메시지를 만들어 보는 과정이 대략의 중심이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느꼈던 인사이트는 대중을 향한 과학적 성과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의 경우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설명만이 최선의 모범답안이 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예상 했던 대로 트레이닝에 참가한 분들은 연구 성과에 대한 의심을 가진 질문과 추측성 추궁에 대해 감정적 반응과 함께 아주 상세하고 장황한 과학적 논리로 상대를 설득하기 위한 노력을 보였습니다. 질문이 굉장히 비과학적이고 과학을 잘 모르고 하는 이야기라며 어려움을 […]

소셜 미디어 위기 관리 커뮤니케이션의 첫 단추는 대중과의 감정 조율이다.

기업에 위기가 발생되는 요인은 굉장히 다양합니다. 실제로 Crisis Factor Audit을 해보면 대부분의 기업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요소들이 있는 반면 그 기업만 가지고 있는 특별한 요소들도 존재합니다. 그런데 이런 위기 요소들이 위기를 만들면 Fact자체가 가지고 있는 위기의 파급력보다 많은 대중들의 감정이 모아져서 기업에 주는 부담감이 휠씬 큰 경우들이 많습니다. 특히 현재의 인터넷 환경이 기업에 더욱 큰 부담감을 주고 있습니다. 과거 많은 부분 책으로만 얻을 수 있었던 정보와 사실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 공유되는 현상들을 인터넷을 혁명이라 이야기 해왔지만 이젠 단순한 공유를 넘어 각 개체간 복잡한 “관계”를 형성하게 되고 우리는 그것을 “소셜(Social)”이라 부르며 그를 기반으로 한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런 환경 […]

위기 관리는 인지와 인식의 변화를 동반해야…

Youtube URL : http://bit.ly/dgWzRu “많은 비행기 승객들은 승무원들이 설명하는 안전수칙에 집중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필리핀 세부 퍼시픽 항공사를 이용하는 승객들은 승무원들의 안전수칙에 집중하지 않을 수 없다.” [서울신문, 입력 2010.10.04 09:36, “비행기 안전수칙, 춤으로 설명 女승무원 화제” 기사 중 일부] 비행기 이륙 전 최악의 위기 시나리오를 고려한 이 안전 교육은 받을 때 마다 항상 느끼지만 승무원은 승무원대로 승객은 승객대로 하나의 통과 의례처럼 지나치는 경우들이 많습니다. 물론 저 또한 그런 승객 중 하나였습니다. 비행기를 이용할 때마다 ‘어떻게 하면 저 교육에 대한 승객들의 주목도를 높일 수 있을까?’라는 고민을 했었는데 이 영상을 보니 묻어왔던 또 하나의 고민이 되살아납니다. 저 승무원들의 댄스가 승객을 대상으로 […]

나만, 내가 속한 조직만 아니면 된다?-CNG버스 폭발 사례

어젠 퇴근 무렵 트위터를 통해 시내버스가 주행 중 폭발했다는 뉴스를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많은 분들이 저처럼 함께 놀라셨으리라 생각됩니다. 더군다나 크게 다친 분도 있다고 하니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위 이미지는 어제 KBS 9뉴스를 통해 방송된 “CNG 버스 6년간 폭발 8건…주행 중은 ‘이례적’” 내용 중 한국가스안전공사 관계자와 인터뷰 내용 중 일부 입니다. 기업에 위기가 발생하면 본능적으로 본인과 조직을 보호하려는 행동들이 종종 나타납니다. 그러다보니 기업 전체를 생각하기 보단 본인과 본인이 속한 조직의 면피에만 몰두하게 되고 이때 무의식 적으로 내뱉게 되는 말들이 간혹 더 큰 오해나 위기를 불러 일으키기도 합니다. “저는 그런 적이 한번도 없습니다.” ”저희 대리점은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저희 지역은 그럴 리가 […]